그녀는 언제부터인가
'새로운 만남'이라는 것이 귀찮아졌다.
한 사람을 만나고, 서로 알아가고, 친해지는 데는
시간과 노력과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한 일이었다.
하지만 낯선 누군가를 만나서
처음부터 모든 걸 다시 시작하는 게
너무 힘들고 피곤해졌던 것이다.
생각해 보면, 학창 시절에는 일 년에 한 번씩
그동안 사귄 친구들과 헤어지고,
새로운 친구를 만나고, 친해지고,
다시 헤어지고 하는 걸 수없이 반복했었다.
그때마다 스트레스는 받았지만
귀찮다는 생각은 안 했는데,
세상에, 사람 만나는 게 귀찮아질 줄이야.
한때, 매일 만나던 친구들,
어제 보고, 오늘 또 보면서도
할 이야기가 끊이질 않던 친구들도
어쩌다 한 번 보는 게 전부가 됐다.
다들 각자의 삶이 있는 것이다.
언젠가 충고에 따라 동호회도 몇 개나 가입하고
모임마다 빠지지 않고 나갔었지만, 그것도 한때였다.
엄마가 잘못 기른 화초처럼, 모들 시들해졌다.
우리가 그리운 건 새로운 사람이 아니라
예전 사람들이었다.
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시절의 사람들.
< 아주, 조금 울었다 중에서 / 권미선 >
'책 읽어주는 남자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책 읽어주는 남자 (지나온 길을 돌이켜보면) (0) | 2017.08.17 |
---|---|
책 읽어주는 남자 (더 좋은 사람이 되려고 노력한다) (0) | 2017.08.16 |
책 읽어주는 남자 (그래서 나는 그 맛을 사랑하게 되었다) (0) | 2017.08.13 |
책 읽어주는 남자 (다시 찬란한 햇빛 속으로) (0) | 2017.08.12 |
책 읽어주는 남자 (그나마 가장 확실한 선택이 될 것) (0) | 2017.08.09 |
댓글